폐기능검사 종류
폐기능 검사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다음과 같습니다.
폐활량 검사, 기관지확장제 검사, 폐확산능 검사, 폐용적 검사, 기관지 유발 검사
폐기능 검사는 왜 할까?
폐기능 검사는 호흡기 질환의 진단과 그 정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여러 호흡기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판정하고 진단된 호흡기 질환의 경과를 관찰할 수 있으며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의 위험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흡기 장애가 직업과 연관되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데 쓰입니다.
폐활량 검사
폐활량 검사는 얼마나 세고 빠르게 숨을 쉴 수 있는지 측정하는 기능적 검사입니다.
검사 전 필요 정보
나이, 신장, 체중, 성별, 인종 등을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정상 예측치 (Ref, Pred)를 결정하는데 쓰입니다. 동일한 키와 연령에 대한 보정값을 적용합니다.
폐활량 검사 방법
최대 노력성 호기 검사를 합니다. 폐쇄성 환기 장애를 가졌더라도 천천히 숨을 내쉬면 폐활량이 정상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숨을 들이마시게 한 후 가능한 세고 빠르게 6초 이상 내쉬게 하여 최대 노력성 호기곡선을 얻어야 합니다. 서 있는 자세로 검사를 합니다.
https://youtu.be/NWohvSZoc9E
폐활량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노력성 폐활량 (FVC, Forced Vital Capacity)
최대 노력성 호기에서 얻어진 폐활량
일초간 노력성 호기량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at 1 second)
최대 노력성 호기를 시작한 후 1초간 내쉰 기량. 재현성이 높고 여러 호흡기 질환의 장애 정도와 예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수치입니다.
FEV1 / FVC ratio
기도 폐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됩니다. 정상인에서는 70% 이상입니다.
- 폐쇄성 폐질환 : 감소
- 제한성 폐질환 : 증가 or 정상
- 제한성 및 폐쇄성 폐질환 혼합형 : 감소
노력성 호기중간유량 (MMEFR, FEF25-75%)
폐활량의 초기와 말기 25%를 제외한 중간 50% 기량을 소요된 시간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환자의 노력 여부와 관련이 적고 말초 소기도 질환 진단에 예민합니다. 군입대 검사나 장애등급 검사에서 고의로 호흡을 적게 하는 행위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금기
- 최근 3달 이내 심장마비, 심근경색증, 기흉, 망막박리, 대동맥류, 뇌졸중이 있었던 환자
- 최근 3달 이내 안과 수술, 개심술, 개복술을 받은 환자
- 현재 결핵을 앓고 있는 등 호흡기 감염을 갖고 있거나 이에 노출된 가족
- 지난 1달 이내 대량 객혈이 있었던 경우
- 수축기 혈압 200mmHg 초과 or 이완기 혈압 140mmHg 초과
- 과호흡 또는 최대 노력호흡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질환 : 모야모야병, 반복된 자발기흉
상대 금기
- 요실금 경험이 있는 경우
- 가슴통증 혹은 복부 통증이 있는 경우
- 마우스피스를 물면 구강 또는 얼굴에 통증이 있는 경우
- 치매
- 의식 저하 환자
폐활량 검사 결과 해석
폐활량 검사 결과는 환자의 성별, 나이, 신장 등을 고려한 추정 정상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정상
추정 정상치의 ± 20% 이내라면 정상으로 생각합니다.
- FVC, FEV1 : 100 ± 20%
- FEV1 / FVC > 70%
이상 소견
1) 폐쇄 환기 장애
기도 폐쇄로 인해 FVC (노력 호기 최대 용적) 대비 FEV1 (최대 호기 유속)이 감소하는 병적인 상태입니다.
2) 제한 환기 장애
FEV1/FVC > 0.7 + FVC, TLC , 80%
FVC가 감소되면 제한성 환기 장애가 의심되는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TLC를 측정합니다. TLC가 감소되었다면 제한 환기 장애를 확진할 수 있습니다.
폐 실질에 이상이 있다면 DLCO가 감소하고 흉벽 질환이나 신경-근 질환이라면 DLCO가 정상입니다.
3) 혼합 환기 장애
FEV1/FVC < 0.7 + FVC, TLC < 80%
- 제한성과 폐쇄성 폐질환 모두 FVC, FEV1은 감소합니다.
- 제한성 폐질환 FEV1 / FVC 증가 또는 정상
- 폐쇄성 폐질환 FEV1 / FVC 감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염성 심내막염이란? 진단, 치료, 예방 (0) | 2022.11.27 |
---|---|
폐기능 검사 (2) 기관지 확장제 / 기관지 유발 검사 (0) | 2022.11.26 |
심부전 약물 치료 (0) | 2022.11.25 |
잠복결핵 검사를 받아야 할까? 진단과 치료 (0) | 2022.11.24 |
흉막(가슴막) 삼출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