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5 수술 받고 나서 혈전이 생길 수 있다고? 혈전 예방법 혈전은 수술을 받은 후에 오래 누워 있으면 잘 생깁니다. 이렇게 생긴 혈전은 폐색전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 호흡곤란, 저혈압, 빈맥, 기침, 가슴통증이 있으면 폐색전증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만약 저혈압과 실신이 동반된다면 심각한 폐색전증을 의심할 수 있고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폐색전증이 뭔데? 폐색전증은 혈전이 폐동맥을 막아 피가 흐르지 않으면 생깁니다. 대부분 다리 부위의 심부 정맥 혈전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 압박스타킹은 다리의 혈액이 심장으로 잘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합니다. 공기로 다리를 압박해주는 기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힘들더라도 1시간에 1번씩은 일어나서 운동을 해주면 폐색전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진단 폐색전증이 의심되면 .. 2022. 11. 28. 감염성 심내막염이란? 진단, 치료, 예방 감염성 심내막염이란? 미생물에 의한 심장 내막의 감염을 감염성 심내막염이라고 하며 주로 세균성입니다. 대체로 심장 판막에 발생하고 심초음파에서 증식물 (vegetation)이 관찰됩니다. 발열, 오한, 발한, 식욕부전, 체중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심잡음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 혈액 배양 검사나 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항생제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인공판막을 가진 환자는 반코마이신 + 겐타마이신 + 리팜핀을 투여합니다. 자연판막을 가졌으며 지역 사회 감염이 의심되고 MRSA 가능성이 낮은 경우엔 나프실린 + 페니실린 + 겐타마이신을 투여합니다. 병원성 감염으로 MRSA가 의심되거나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환자는 반코마이신 + 겐타마이신을 투여합니다. 언제 수술을.. 2022. 11. 27. 심부전 약물 치료 심부전의 치료에 쓰이는 약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약물 ACE inhibitor (ACE 억제제) 심부전의 증상 완화와 생존률 증가에 가장 중요한 약제입니다. 가능한 빨리 사용하고 저용량에서부터 천천히 늘리면서 복용합니다. 좌심실 수축기 기능 부전 환자에게 반드시 사용해야 하지만 증상이 있는 저혈압 환자나 양쪽 신동맥 협착 환자에게는 쓰면 안됩니다. 안지오텐신 1에서 2로 가는 과정을 차단합니다. ARB ACE inhibitor와 효과는 거의 비슷하지만 ACE inhibitor를 우선 사용합니다. ACE inhibitor는 기침이나 혈관 부종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면 ARB를 처방합니다. 베타 차단제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점점 늘려가고 평생 사용해도 되는 약제입니다. AC.. 2022. 11. 25. 고혈압이란? 혈압 정상치, 고혈압 종류, 검사, 합병증 혈압이란? 수축기 혈압 : 심장이 수축할 때 혈관이 받는 최대한의 압력 이완기 혈압 : 심장이 이완(확장)할 때 혈관이 받는 최소한의 압력 고혈압이란?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확장기혈압) 90 mmHg 이상 ( > 140/90) 을 고혈압으로 분류합니다 그리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120 mmHg와 80 mmHg 미만( < 120/80) 일 때를 정상 혈압으로 분류합니다. 현재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도 고혈압이라고 칭합니다. 고혈압의 위험성 고혈압은 세계적으로 사망에 미치는 기여도 1위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혈압에 따른 심뇌혈관 질환 사망률을 살펴보면 115/75mmHg 에서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완기 혈압이 10mmHg씩 증가할 때마다 사망률이 2배씩.. 2022. 11.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