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이란?
심근에 산소의 공급이 적거나 수요가 많아져 불균형하면 혈액과 산소의 공급이 부적절한 상태가 됩니다. 이 상태를 허혈성 심장질환이라고 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종류
허혈성 심장질환은 만성 관상동맥 증후군(안정형 협심증)과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 만성관상동맥증후군 : 안정형 협심증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 ST절 상승 X - 비 ST절 상승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NSTE-ACS)
- Troponin 정상 - 불안정형 협심증
- Tropoinin 상승 - 비ST절 상승 급성심근경색증 (NSTEMI)
- ST절 상승 O, Troponin 상승 - ST절 상승 급성심근경색증 (STEMI)
허혈성 심장질환의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심외막 관상동맥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입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발생하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있는 환자에게 발생할 위험이 더 높습니다. 심근 경색은 혈전이 관상동맥을 완전히 막으면 생깁니다.
치료
관상동맥조영술
사타구니 동맥이나 팔동맥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관상동맥 입구까지 넣습니다. 관상동맥 조영술은 관상동맥 우회술을 하기 전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관상동맥 풍선확장술 / 스텐트 시술
좁아진 혈관 안에 풍선을 넣어 확장시키는 방식으로 길을 넓힙니다. 이후 스텐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스텐트 시술이라고 합니다.
관상동맥 우회술 (CABG)
수술 전 진단 시에 관상 동맥 조영술을 필수적으로 합니다. 다른 부위의 혈관을 떼어 새로운 길을 만들어 주는 수술입니다.
내흉동맥, 노동맥, 복재정맥, 위그물막동맥, 아래배벽동맥 등을 이식 혈관으로 쓸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내흉동맥(internal thoracic artery)이 대표적입니다. 왼쪽 내흉동맥 (LITA)이 가장 자주 쓰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발성 폐섬유증 (IPF) 증상, 원인, 치료 (0) | 2022.11.11 |
---|---|
호흡곤란증후군 원인, 치료 (0) | 2022.11.11 |
협심증 치료 (1) 안정형 협심증 - 약물, 시술 (0) | 2022.11.10 |
만성폐쇄폐질환 (COPD) 특징, 증상, 원인 (0) | 2022.11.10 |
천식 특징, 증상, 원인, 유전, 기도협착 (0) | 2022.11.10 |
댓글